Q&A

✅ 해외선물 거래소별 수수료 차이 총정리
해외선물 거래를 할 때 대부분의 투자자는 증권사 수수료만 신경 쓰지만, 실제로는 거래소 자체의 수수료 구조도 거래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거래소별로 기본 거래 수수료, 청산 수수료, 데이터 사용료가 상이하며, 이 차이는 누적되면 매매 수익률을 크게 좌우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주요 해외선물 거래소의 수수료 차이를 비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CME (미국 시카고거래소)
-
청산 수수료(Exchange Fee): 약 $1.18 ~ $1.30/편도 (상품별 차이 있음)
-
데이터 사용료: 월 약 $1~$15 (상품군, 실시간 여부에 따라 다름)
-
총합: 거래 1회(진입+청산) 기준 $2.50 내외 + 중개사 수수료 별도
-
특징: 거래량 많고 수수료 효율 높음, 기관과 개인 모두 사용
2. EUREX (독일 유럽거래소)
-
거래 수수료: 약 €0.20~€0.30/편도 (유로스톡스50 기준)
-
청산 수수료 포함 방식
-
총합: 약 €0.60 왕복 + 브로커 수수료 추가
-
특징: 유럽 채권 및 지수 거래에 유리, 수수료 단가는 낮지만 환전 수수료 고려해야 함
3. ICE (영국 인터콘티넨탈거래소)
-
수수료: 원자재 상품 기준 $1.20~$1.50/편도
-
데이터 사용료: 월 $15~$30 (브렌트유, 커피, 설탕 등 종목 별도 과금)
-
총합: 거래 1회당 $3.00 내외 + 브로커 수수료
-
특징: 에너지·소프트 상품에 특화, 종목별 부가 비용 존재
4. SGX (싱가포르 거래소)
-
수수료: $1.00 내외/편도 (니케이225, MSCI 아시아지수 기준)
-
총합: $2.00~$2.20 수준
-
특징: 아시아 지수 투자에 적합, 수수료는 비교적 저렴한 편
5. HKEX (홍콩거래소)
-
수수료: 약 $1.50 내외/편도
-
시세 사용료: 별도 과금 ($10~$20/월)
-
총합: $3.00 수준 + 플랫폼 이용료 포함 시 더 높아짐
-
특징: HSI, 중국 A50 연계 거래자에게 특화, 야간 거래 강세
비교 요약
거래소 | 수수료(왕복 기준) | 시세료(월) | 특징 |
---|---|---|---|
CME | $2.5 내외 | $1~$15 | 유동성 최고, 글로벌 기준 |
EUREX | €0.60 내외 | 포함 | 유럽 시장 최적화 |
ICE | $3.0 내외 | $15~$30 | 원자재·에너지 특화 |
SGX | $2.2 내외 | 저가 | 아시아 신흥국 투자 |
HKEX | $3.0 이상 | $10~$20 | 중국·홍콩 시장 집중 |
결론적으로, 해외선물 거래소별 수수료는 단순 비교보다 종목별·청산 방식·시세 연동 방식까지 포함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거래 종목이 뚜렷하다면, 해당 거래소의 수수료 구조를 기준으로 매매 전략과 플랫폼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