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 해외선물 거래소 실시간 시세 확인법
해외선물 거래의 핵심은 정확한 진입 타이밍이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실시간 시세 확인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거래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15분 지연 시세를 제공하며, 초보자들은 실거래 기준의 시세인지 모르고 매매에 나서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각 해외선물 거래소 시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2. 국내 증권사 실시간 시세 신청 방법
-
신청 위치 예시 (키움 HTS 기준)환경설정 > 시세조회권한 신청 > CME 실시간 시세 신청
-
유료 구독 필요:
-
CME: 월 약 1,000~2,000원
-
EUREX: 월 5,000원 내외
-
HKEX/SGX 등은 증권사마다 요금 상이
일부 증권사는 신규 계좌 개설 시 1개월 무료 혜택을 제공합니다.
3. 시세 미신청 시 문제점
-
15분 지연 시세는 진입·청산 기준 왜곡 발생
-
실제 가격과 차이가 있어 슬리피지·오판 가능성 증가
-
체결이 늦게 보이는 경우, 시장가 주문 시 불리한 가격 체결 위험
4. 시세 확인은 어디서?
-
HTS/MTS 상에서 호가창, 체결창, 캔들차트로 실시간 확인
-
해외선물 사이트 자체에서는 시세 제공 안 되므로 증권사 플랫폼 이용 필수
-
일부 해외 브로커(트레이딩뷰, NinjaTrader 등)도 실시간 시세 지원하나 대부분 유료
5. 실시간 시세와 체결 시점의 연동 확인법
-
거래 시 주문 체결 로그와 시세 차트가 일치하는지 반드시 복기
-
일부 저가 플랫폼은 시세는 지연인데 체결만 실시간이라 체감 오류 발생 가능성 있음
결론적으로, 해외선물 거래에서 실시간 시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몇 천 원의 구독료를 아끼려다 수십만 원의 체결 오류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시세 사용 신청은 거래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첫 번째 설정 항목입니다.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